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8

[영어 관용표현] 우리 친해요! (We're tight, We're close) 관심이 있는 친구가 있을 때, "너 저 친구랑 친해?" 라며 친구 사이를 물어보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이러한 표현을 영어로는 "We are tight." 또는 "We are close."라고 합니다. 이러한 표현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봅시다. tight, close tight라는 단어는 "단단한, 꽉 조여 있는" 것을 의미하고, close는 "가까운"을 의미합니다. We are tight라고 표현을 할 때는, 잘 맞는다는 표현으로 바뀌어서 "우리 친해!"라는 표현이 되는 것이죠. 또한, close는 의미 그대로 "우리 가까워!"라고 해석되고, 친근한 사이를 나타낼 때 쓰는 관용표현으로 미국에서 대중적으로 사용합니다. 2022. 12. 30.
해장, 해장국, 해장의 역사, 해장국 종류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술을 먹은 다음날이면 어김없이 해야하는 의식이 있죠. 바로 해장국을 먹는 것인데요. 술을 먹으면 해장한다는 것은 어떠한 것일까요? 오늘은 해장과 해장의 역사, 지역별 해장국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해장이란 우선 해장에 대해서 먼저 알아봅시다. 네이버에 "해장"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하면 나오는 내용은 "전날의 술기운을 풂. 또는 그렇게 하기 위하여 해장국 따위와 함께 술을 조금 마심."이라고 합니다. 즉, 전날의 술기운을 푸는 행위들을 해장이라고 하는 것이죠. 우리는 해장을 하기 위해서 해장국을 먹습니다. 해장국의 역사 정확한 기록은 알 수 없다고 합니다. 다만, 역사책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려시대에 술 깨는 국을 먹는다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즉, 해장국은 최소한 고려.. 2022. 12. 28.
주당순이익(EPS)이란? 제무재표를 확인하다보면 EPS라는 용어가 나옵니다. 제무재표 상에는 많은 정보가 요약해서 담겨져 있기에, 처음 보시는 분이라면 모르는 것이 많을 것이라 생각되는데요. 오늘은 EPS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EPS(Earning Per Share)란 무엇인가요? EPS는 주당 순이익으로 기업이 제무재표 상 기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입니다. 즉, 1주당 얼마 만큼의 이익을 창출했는지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EPS 수치의 함의 EPS 수치는 어떠한 것이 좋을까요? 당연히 높은 것이 좋을 것입니다. EPS가 높다는 것은 기업이 벌어들이는 돈이 많다는 것이고, 이는 주주들에게 배당 여력 등이 높은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EPS가 높다고 꼭 배당을 많이 하는 것은 아니니, 단순히 참고용으.. 2022. 12. 27.
[맞춤법] 굳이와 구지 굳이 구지는 서로 다른 단어입니다. 서로 의미하는 뜻이 다르기에 상황에 맞게끔 잘 써야하는데요. 다시는 틀리지 않게 자세히 알아봅시다. 우선 굳이부터 알아봅시다. 네이버 검색창에 "굳이"로 검색을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보통 우리는 2번의 뜻을 많은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고집을 부리는 것과 같이 행동할 때, 자주 사용하는 말입니다.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것을 굳이 할 필요가 없는데 왜 한거니? 수건이 있는데, 굳이 왜 휴지를 쓴거야. 그렇다면 "구지"는 어떠한 상황일 때 쓸까요? 명품 브랜드 "구찌"가 있기에 많은 분들이 구지라는 단어가 구찌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아시고 계신데요. 실제로 구지는 구찌에서 파생된 말이 아니고, 실제로 쓰이는 단어입니다. 네이버에 "구지"라고 검색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2. 1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