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8 유전율(Permittivity), 비유전율(Relative permittivity), 유전 상수 정의 전기 쪽으로 공부하다보면, 너무나 많은 이론이 있어 헷갈리는 부분이 정말로 많이 있답니다. 그래서 저는 모르는 것이나 헷갈리는 것이 나올 때마다 기록하려고 노력하는데요. 오늘은 유전 상수에 대해서 공부하다가 헷갈려 정리했던 부분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커패시턴스(C)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s는 극판의 면적이고 d는 극간 거리입니다. 즉, 커패시턴스의 용량을 결정하는 계수로서 유전율이 사용되는데요. 유전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유전율(Permittivity) = 비유전율(Relative Permittivity) x 진공에서의 유전율인 것이죠. 유전율이 가장 큰 개념이고, 유전율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비 유전율과 진공에서의 유전율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Dk(D.. 2022. 12. 14. 원자력 발전의 원리(장점 및 단점 등) 안녕하세요. 오늘은 원자력 발전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사실, 원자력 발전의 메커니즘을 파헤치기에는 너무 심오한 분야라서 정말 수박 겉핡기 정도만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간단히 원리 및 장점과 단점 등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원자력 발전의 원리 원자력 발전은 불안정한 분자의 핵 분열 반응을 이용하는 발전 방식입니다. 우라늄이라는 물질은 불안정한 물질입니다. 예를 들면, 옥상 난간에 아슬아슬하게 매달린 물건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불안정한 우라늄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새로운 원자핵으로 분리가 되는데 이것을 핵분열이라고 합니다. 이 핵분열을 통해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라늄 핵이 분열할 때 중성자가 2~3개가 방출되는데 네 중성자는 주변의 우라늄과 또다시 핵분열.. 2022. 12. 13. 풍력발전에 대해 알아보자!(전자기유도, 장점, 단점, 원리) 안녕하세요. 추운 바람이 엄청나게 부는 겨울이네요. 오늘은 몸과 마음이 정말로 힘든 날이었습니다. 이렇게 글을 쓰니 기분이 조금 나아지는 것 같기도 하네요. 우울한 감정에 휩싸여져 있으면, 빨리 벗어나는 것을 저는 굉장히 선호합니다. 오늘은 그래서 이러한 우울한 감정을 날려버릴 풍력 발전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같이 알아봅시다! 풍력 발전이란? 풍력 발전은 기본적으로 바람을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이를 통해 풍력 터빈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구조입니다. 태양광의 경우 밤에는 에너지의 원천인 태양 자체가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지만, 바람은 적절한 위치에서는 태양보다 더 오랜 기간 부는 관계로 상대적으로 값이 싼 재생 가능 에너지원입니다. 풍력 발전의 원리 발전기에서 전기에너지.. 2022. 12. 12. 처음 모든 일의 처음은 너무나 설레는 일인 것 같습니다. 창대한 미래를 꿈꾸며, 설레는 마음으로 일을 시작하는 것 어릴 적에는 이러한 것들이 무섭기도 하였지만, 점차 새로운 경험들을 즐기게 되는 것 같습니다. 티스토리도 이러한 경험을 밑바탕으로 더욱 열심히 해보고자 합니다. 티스토리의 첫 시작,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2022. 12. 11. 이전 1 ··· 29 30 31 3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