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스테그플레이션 Stagflation은 두 가지 단어가 합쳐진 합성어입니다. 이는 경기 침체를 뜻하는 단어인 스테그네이션 stagnation과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 inflation이 합쳐졌습니다. 즉,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라는 두 가지 겹쳐 크나큰 경기 불황에 마주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는 경기가 침체하면 시중에 돈을 풀고 금리를 인하하게 됩니다. 그러나 시중에 돈이 풀리기 시작하면 기업의 투자가 증가하고, 고용률도 증가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경제 회복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이것이 역으로 잘못 작용한다면 그동안 풀린 돈 때문에 물가가 상승하게 되어버립니다. 경제 성장률도 더뎌져 저조한 성과를 보이게 됩니다.
당연히 회사에서도 좋은 실적을 내지 못하니 근로자에게 지불하는 급여는 감소하고, 자연스럽게 시장이 위축되면서 회사들이 어려움을 겪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바로 경기침체, 스테그플레이션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스테그플레이션 역사
역사적으로 잘 알려진 첫 스테그플레이션는 1974년에 일어났습니다. 그 당시 중동 전쟁으로 인해 10월부터 4달 만에 유가가 너무 가파르게 오른 것입니다. 석유수출기구에서 이스라엘과 아랍 간의 욤 키푸르 전쟁에서 미국과 영국, 캐나다 등의 나라가 이스라엘을 지원한다는 이유만으로 원유 공급을 제한했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유가가 급격하게 치솟고 스테그네이션이 발생하게 된 것입니다. 유가는 1년 만에 300%나 올랐기 때문에 다른 물건들의 가격도 타격을 입게 되자 기업들은 어쩔 수 없이 노동자를 해고했습니다. 이 당시 실업률이 어마어마했습니다. 우리나라는 90년대 초에 스테그플레이션를 겪었습니다.
낮은 유가, 금리와 평가절하된 원화의 가치를 의미하는 3저 호황이 거의 끝나가는 때여서 국민들의 경제 호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부동산 투기가 성행하고 근로자들의 임금 인상 요구 등이 나타나 스테그플레이션를 겪게 되었습니다. 한국은행은 앞으로 우리나라가 스테그플레이션 겪을 확률은 낮다고 이야기했지만, 금리가 갈수록 인상되고 실업률이 높아지면 사회적인 저항이 높아지고 취약계층인 소상공인들과 MZ세대에게 피해가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스테그플레이션에 대한 주의를 요할 시기입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의 공포
연준 의장 제롬 파월은 고용이 가장 중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경제를 움직이는 것이 생산력과 노동력에 있기 때문입니다. 고용이 많아짐에 따라 실업률이 낮아지면 자산매입축소( 경제에 미치는 부작용을 천천히 줄여나가는 전략)나 금리 인상 등으로 조절하면서 경제를 관리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또한 미국 대통령 바이든은 수조 달러의 규모나 되는 돈을 인프라에 투자하는 등의 정책을 계속하여 계획하고 있기 때문에 금리 인상이 광폭 조정 이상으로 넘어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잡다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익직불제란, 공익직불제의 목적, 공익직불제 개편 내용 (0) | 2023.03.02 |
---|---|
자사주와 자사주 매입, 자사주 소각이란, 자사주 소각에 따른 주가 영향 (0) | 2023.03.01 |
개구리 소년 사건 개요, 개구리 소년 유래 (0) | 2023.02.27 |
금리 인하 요구권이란, 금리 인하 요구할 수 있는 경우, 금리인하요구권 신청 방법 (0) | 2023.02.26 |
빼빼로 데이의 유래, 빼빼로 데이 원조 (0) | 2023.02.25 |
댓글